조선 남다로 끽다래 이 다큐가 방영이 된 뒤 큰 소동이 일어났습니다. 소수 집단의 주장만 담았다는 , 소수 지역만 이야기 했다는 등등등등 물론 진행하신 분들도 답을 했습니다. 지자체에 손을 벌리니 도와주는 곳은 거의 없더라 어쩔수 없이 도와주는 곳만 찍었다. 2탄을 준비 중이다. 등등드읃으듣으등 한마디로..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한국차문화사 2010.01.27
부산 삼광사 차실 방문기 끽다래 2005년으로 기억하는 해에 부산 초읍에 위치한 삼광사 차실을 방문했습니다 우리를 인도해 주신 스님은 갈웅스님이십니다. 그 주위는 원광디지탈대학교 학생들입니ㅏ 돋 보이는 저를 포함하여 학생들입니다. 저 끝 분은 누군지 알송합니다. 갈웅스님과 지선선생님 차실입니다. 위의 사진으로 2.. 매공 차 한잔 마시다/내발로 가다 2010.01.27
관아 국화차를 마시다 끽다래 국화차에 대한 아픈 기억으로 잘 마시지 않습ㄴ디ㅏ. 첫번쨰 우린 것 자주 우리는 것 귀찮아서 막 많이 우려 촛불 위에 올립니다. 요즘은 촛불도 귄찮아 다락방이 준 전기데움기를 사용합니다. 매공 차 한잔 마시다/그 많은 차들 2009.12.19
작은 청년들의 소리들을 들어 보세요 끽다래 지난 일요일 부산 서면 마루에서 대구에서 온 청년들로 구성된 작은 음악회를 했답니다. 첫주자는 해금 - 둔치인 저는 해금인줄 알았습니다. 건데 차이점이 뭔니요? - 너 뭔말이닠? 옹기 종기 모여 고기와 술 한잔 먹고 마시며 동네 잔치 같았습니다. 이 아저씨가 대장이랍니다. 건데 정말 악기.. 나는 이러하다/노래 들으며 2009.07.14
喫 茶 來 - 육우다경연구회 창간호에 실린 글 喫 茶 來 錦堂 崔圭用 다거(茶去)는 唐나라 조주(趙州)스님의 語句로서 <喫茶去>는 사원이나 茶人들이 周知하고 있는 차에 대한 定着된 述語이다. ‘차 한잔 들고 가라’는 말도 의미도 심장 하지만 ‘차 한잔 잡수러 오시요’ 하는 <喫茶來>는 필자가 오랜 차 생활속에서 짜낸 어휘(語彙)이다... 끽다래 금당 최규용/금당과 끽다래 2009.07.12
7월 13일까지 심무용선생초대전 끽다래 40여년을 전각에 몸을 받친 무용선생님의 작품이 선보입니다. 한국아트미술관 ㅅ612-3400 한국아트미술관 소개 | 남구 2007.11.15 13:57 첼로(osorno) http://cafe.naver.com/artingallery/250 명칭 : 한국아트미술관 성격 : 한국문화교류재단이 운영하는 고품격 전문 갤러리 주소 : 남구 대연3동 565-2번지 전화번호 : .. 매공 차 한잔 마시다/새소식 2009.07.09
추억의 한장을 ........... 끽다래 사진첨 속에 몇장을 찾아봤습니다. 일타스님과 할아버지 그리고 할머니 옆에 계시네요. 뒷 작품들은 중국에서 선물 받은 것입니다. 늘 할아버지 거실에 걸려 있던 것입니다. 1989년 일본 만복사 행사 참석 때입니다. 왼쪽 끝이 금당다법과 정신을 이어 '금당차문화회'를 이끌고 계신 강옥희선생.. 끽다래 금당 최규용/할아버지 사진첩 2009.07.08
근대다인 - 응송스님이 말하는 초의제다법 응송스님이 아주 몇년전 <다담(?) 2호>에 인터뷰 한 것 입니다. 타자는 물론 제가 한 것이 아닙니다. 초딩 아들에게 알바 시킨 것입니다. 수리(정리)한다고 했는데, 이해 안오는 것 있으면 야기해 주세요. 다음에 제 아들(태연이)보면 수고했다가 돈 천원이라도 주세요 - 알바비 작다고 안하려 하는 것.. 매공 차 한잔 마시다/차 마시는 사람들 2009.07.05
경남 차사발 초대 공모전 끽다래 다녀왔습니다. 토요일 전시장 입구 전시장 안 전시장 바로 입구 경사로 경사로에서 쭉 내려오면 경사로 옆 판매하는곳 학술세미나 첫 발표자인 중국 조흘선생 - 중국 송대 차문화와 찻잔 연구 일본 신조선생의 하기야키의 '가마'에 대해서 한국 신한균선생의 명품 차사발(다완)의 아름다움에 .. 매공 차 한잔 마시다/내발로 가다 200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