끽다래 금당 최규용/금당과 끽다래 18

개벽과 신여성에 금당선생님의 글이 있답니다.

끽다래 근대역사 시간에 한번 쯤 들어 본 개벽이라는 잡지와 신여성 이 두 잡지에 금당 최규용선생님이 글을 올렸답니다. 최규용이 아닌, '마면'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답니다. 아직 개벽과 신여성을 찾아보지는 못했지만 .............요 개벽 지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1920년 6얼 25일 창간했습니다. 1926..

喫 茶 來 讚 - 육우다경연구회 창간호 실린 글

喫 茶 來 讚 玄史 金承鎬 (서예가) 본인이 <喫茶來>의 글을 처음 본 것은 금당 최규용 선생님께서 중국 호북성 천문시의 육우다경연구회의 이수정씨의 서폭(書幅)에서다. 喫茶來의 大字 옆에 小字로 陸羽茶經硏究會 會長 錦堂 崔圭用 영기(永紀)로 방서(傍書)한 것이다. 본인이 알고 있기는 唐의 조..

喫 茶 來 - 육우다경연구회 창간호에 실린 글

喫 茶 來 錦堂 崔圭用 다거(茶去)는 唐나라 조주(趙州)스님의 語句로서 <喫茶去>는 사원이나 茶人들이 周知하고 있는 차에 대한 定着된 述語이다. ‘차 한잔 들고 가라’는 말도 의미도 심장 하지만 ‘차 한잔 잡수러 오시요’ 하는 <喫茶來>는 필자가 오랜 차 생활속에서 짜낸 어휘(語彙)이다...

육우다경연구회 회보 창간에 즈음하여

육우다경연구회 회보 창간에 즈음하여 금당 최규용 1200여년(건중 원년 780년)전에 저술된 <육우다경>을 보면, 신령스런 차나무는 먼 남방에서 자란다고 기록되어 있다. 육우의 고향이 중국의 북쪽 호북성이니 그곳에서 남방은 운남성과 귀주성을 말함일 것이다. 오늘의 미얀마, 라오스 국경지대가 ..

부산여성 1988년 5월호 에 실린 금당 관련 기사

끽다래 아들 하나 잘 둔 덕에 몇 년째 복사물로만 있던 자료를 파일화 합니다. 이 책은 <부산여성>이라는 잡지에 실렸다고 합니다. 원본이 있는 분은 연락 주세요. 아니면 찾을 수 있는 방편이더라도요. 애쓴 태연이 고마워, 더욱 분발해죠. 부산여성 1988년 5월호 - 터주대감 차인 금당 최규용 옹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