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 192

4.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

4.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 태어나면서부터 증후는 나타나나, 전문가가 아니면 알기 힘듭니다. 어릴 때는 대체로 힘없이 쳐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24개월 전후로 증후가 나타납니다. * 유아기에 나타나는 신체 증후 ①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머리와 목을 가누지 못하며 앉거나 기는 것이 힘듭니다. ② ..

3. 뇌성마비의 분류

3. 뇌성마비의 분류 경직형, 무정위형, 실조형, 무긴장형, 혼합형 경직형 - 가장 흔한 형태, 대부분 대뇌 피질 손상으로 작은 자극이나 움직임에도 근육경직이 일어나고 어떤 자극에 대해서는 제어하기 힘든 경직이 일어납 니다. 무정위형 - 대부분 변연계, 기저핵 손상으로 동작 선택이 곤란, 목적 없는 ..

여성장애인의 임신과 분만

여성장애인의 임신과 분만 1. 서 론 장애인의 궁극적인 재활 목표는 장애인이 가정을 형성하고 직장을 가지고 사회의 일원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것이며, 여성장애인의 경우, 결혼을 통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이 더없이 중요한 재활과정이라 하겠다. 여성장애인의 경우 대부분 자녀를 원치 않거나 ..

근 디스트로피 치료에 관한 연구보고

근 디스트로피 치료에 관한 연구보고 (2) 제임스 톱슨,린다 톱슨 부부(캐나다 근 디스트로피협회) 듀센형-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러 근육질환중 가장 증세가 심하다. 주로 남자어린이에게 나타나며 근육질환자 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듀센형은 열성 유전된다는 것이 2년전 루이스 쿤켈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