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기반의 ‘인의예지’ 다석(茶席) 설계
2017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생활예절 다도 전공
변승기
논문 개요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제2장 찻자리 설계 이론
1. 찻자리 정의
2. 찻자리 분류
3. 찻자리 구성요소와 의미
4. 찻자리 설계 원칙
제3장 우주 만물 속 인의예지 배속
1. 우주의 공간과 시간
2. 원형리정과 생장수장
3. 사계절
4. 오행
5. 주역
6. 사방신과 28수
7. 황극
제4장 경전 속 인의예지 고찰
1. 인
2. 의
3. 예
4. 지
5. 신
제5장 인의예지 찻자리 구현
1. 인의예지 찻자리의 구조
2. 인 찻자리 구현
3. 의 찻자리 구현
4. 예 찻자리 구현
5. 지 찻자리 구현
6. 신 찻자리 구현
7. 인의예지 찻자리 구현
제6장 결론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본 연구는 우리 차문화가 처한 문제를 사상과 철학적인 부분에서 새롭게 기틀을 마련하고자, ‘찻자리’와 ‘찻자리 설계’에 의미 있는 사상과 철학을 접목하여 한국 차문화의 새로운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다. 결국 문화적 지속성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이 ‘철학의 부재’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고전을 통해서 찻자리에 접목할 수 있는 철학적인 토대가 ‘인의예지’라고 할 수 있다.
2.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제2장 찻자리 설계 이론
1. 찻자리 정의
<다소>에서 말하는 4가지 요소는 결국 차, 수, 기, 화(茶水器火)이니 이 네 가지 요소는 찻자리 설계 시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요소이다.
2. 찻자리 분류
찻자리 분류 | 주요 내용 |
1. 전시용 찻자리 | 귀한 기물 위주 |
2. 경연용 찻자리 | 배치, 어울림 |
3. 시연용 찻자리 | 주제에 적합한 시연용 도구 사용 및 구성 |
4. 음다용 찻자리 | 소통, 화합 |
1) 표현방법에 따른 찻자리 분류
음다용 찻자리는 찻자리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찻자리 분류 | 찻자리 키워드 |
1. 풍류 찻자리 | 경치, 정자, 자연, 술, 음악, 시, 거문고, 바둑판 |
2. 이상향 표현 찻자리 | 무아, 도, 선사상, 선정의 경지, 청강, 달, 구름 |
3. 상징적 찻자리 | 세시명절의 풍습, 행사, 등고, 달, 구름 |
4. 교훈적 찻자리 | 시짓기, 글짓기, 선인들의 글, 선사와 교유, 걸차(乞茶), 사차(謝茶) |
5. 의례 헌다 찻자리 | 삼화령 헌다 찻자리 |
6. 차류 중심 찻자리 | 육대차류, 차종, 차색, 탕색 |
7. 세시와 계절 찻자리 | 사시의 흐름 |
8. 미의 공간으로서 찻자리 | 일본 |
2) 표현내용에 따른 찻자리 분류
3. 찻자리 구성요소와 의미
1) 차
2) 다기
3) 매트
4) 행다
전통의 흐름이 이어지지 않는 것은 행다에 체계적인 철학적 기반이 없었기 때문이다.
4. 찻자리 설계 원칙
찻자리는 예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그러한 예를 표하는 방법은 <논어>에서 충분히 말하고 있는 내용이다.
제3장 우주 만물 속 인의예지 배속
1. 우주의 공간과 시간
2. 원형리정과 생장수장
3. 사계절
4. 오행
5. 주역
6. 사방신과 28수
7. 황극
제4장 경전 속 인의예지 고찰
1. 인
2. 의
3. 예
4. 지
5. 신
제5장 인의예지 찻자리 구현
지금까지 우주 만물 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는 인의예지의 속성과 경전을 통한 인의예지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1. 인의예지 찻자리의 구조
2. 인 찻자리 구현
인 자리는 강인하고 질박하고 소박하기에 질박한 다기, 거친 느낌의 다구를 선택. 일대일 관계에서 2개의 잔을 선택하였다.
3. 의 찻자리 구현
의는 오행 중 금 자리의 속성이기에 은주전자를 선택. 실제 다회에서는 은 다하에 국화차를 담았다. 대완과 잔의 색은 사방신 백호에 어울리게 하얀색으로 구성. 의 자리는 인 자리가 확장된 개념이고 대중의 자리이기에 다 같이 하나의 큰 완에서 나누어 마시는 완포법으로 구성하였다.
4. 예 찻자리 구현
예의 음다용 자리는 오행 중 화의 에너지에 맞게 붉은색으로 표현하여 발현하고자 하는 예의 속성에 초점을 두었다.
5. 지 찻자리 구현
지 자리는 오행 중 수의 속성이며 검은색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너무 어둡게 보여 짙은 회색으로 사용하였다.
6. 신 찻자리 구현
신의 자리에는 간단히 차호만을 놓았다.
7. 인의예지 찻자리 구현
방위 方位 | 인덕 人德 | 천덕 天德 | 지덕 地德 | 계절 季節 | 오행 五行 | 다류 茶類 | 茶器 (象數) | 색상 色相 | 다법 茶法 |
동東 | 인仁 | 완元 | 생生 | 춘春 | 목木 | 녹차 綠茶 | 2, 승勝 | 창蒼 | 포다법 泡茶法 |
남南 | 의義 | 형亨 | 장長 | 하夏 | 화火 | 말차 抹茶 | 5, 범~시,고,조 汎~施,高,組 | 적赤 | 점다법 點茶法 |
서西 | 예禮 | 리利 | 수收 | 추秋 | 금金 | 황차 黃茶 | 3~4, 취,렴,심 趣,廉,深 | 자白 | 완포법 碗泡法 |
북北 | 지智 | 정貞 | 장藏 | 동冬 | 수水 | 떡차 | 1, 유幽 | 흑黑 | 자다법 煮茶法 |
<표 3> 인의예지 찻자리 관계도
제6장 결론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에 이미 깃들여 있는 인의예지를 주제로 하였고
인의예지 찻자리의 설계에서부터 구현까지 모든 과정을 통해, 차와 인간 본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되는 찻자리가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우리 전통의 차, 찻자리 등 차문화에 대한 공부를 위해 논문을 검색하다가 이 논문을 보았다. 네가 찾는 논문이다.
전통 철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찻자리를 제시한 것은 현 시대 다인들이 가져야할 마음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예부터 내려 왔던 찻자리는 무엇일까? 라는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문헌 속에 남아있는 전통 찻자리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적 찻자리에 대한 꿈을 여전히 꾼다.
이 논문에 관련 논문이 적다는 것은 조금 그러하다. 전통철학과 차를 소재로 한 논문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수고하신 노력 덕분에 공부 열심히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이 논문이 지적재산권의 문제가 있다면 알려 주시면 당장 지우겠습니다.
매공 끽다래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 > 차문화 논문 내 마음대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차문화 발전에 있어서 불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정필 (0) | 2018.09.30 |
---|---|
한국차문화의 미학적 연구 - 원광대학교 정재숙 (0) | 2018.09.25 |
국제적 다가로서의 이상적 연구 - 김현정 (0) | 2018.09.23 |
한국 다인론(韓國 茶人論) 아주대 명예교수 천병식 (0) | 201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