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담배에 대한 최초 기록자가 동다기의 저자라고 하네요 한양대학교 정민 교수가 전남 강진에서 발견하였다고 발표한 <동다기>가 수록된 <≪강심(江心)≫에는 담배에 관한 기록도 있어 이것이 담배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초의 기록이라고 합니다.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시절 막내제자인 이시헌이 필사한 ≪강심(江心)≫은 이덕리(李德履)의 저술(著..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한국차문화사 2009.06.17
차는 뜨거워야 하는거여 - 응송스님 끽다래 어느 잡지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내용도 있다며, 20년전 어느 누구에게 받은 복사물입니다. 요즘 한참 '홍차' 논쟁이 되고 있는데,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한국현대차문화사 2009.05.01
[스크랩] 우리나라 최초의 차시 신라왕자 김교각 (지장스님) 신라왕자 지장스님의 육신성도(肉身成道)를 통해 중국사람들은 스님을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받들게 되었고, 이로부터 중국불교에 육신보살의 전통이 생겨났습니다. 신라왕자 김지장스님은 한국, 중국, 일본등 세 나라에서 함께 받드는 위대한 스승입니다. 중국 당시집(唐..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한국차문화사 2009.04.30
[스크랩] 월간 다도 2009년 4월호 "근거 없이 왜곡한 문제의 다큐멘터리 `일상다반사`에 대한 토론회 보고" 지난 2월 시사회를 가졌던 차문화 다큐멘터리 일상다반사에 대한 글이 월간 다도에 실려 본문을 그대로 올려봅니다.(월간 다도의 허락하에 실음)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한국차문화사 2009.04.09
당대의 음다문화 아래 글은 김진숙선생님의 글을 요약 한 것입니다. 원문을 보셔야 완전히 공부하시겠죠 덕분에 좋은 공부 했습니다. 당대의 음다문화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김진숙 서 론 당나라 건국 초 강력한 중앙집권제 확립과 영토 확장으로 국가 기틀을 마련하였고, 특히 운하 건설로 남북교류로 남방..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중국차문화사 2009.04.03
누구나 한번 들어본것 같은 차 이야기-1 각 나라의 차의 발음은 차가 전래된 중국의 지방의 사투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차를 중국 광동성(廣東省)에서는 'CHA', 복건성(福建省)에서는 'TAI' 라고 부르는데 광동성 발음은 주로 육로를 따라 전파되어 한국과 일본의 'CHA', 아라비아의 'SHAI', 터어키의 'CHAY', 러시아의 'CHAI' 등으로 불리게 되었습니..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다른나라차문화사 2009.01.30
영기다장 끽다래 몇년전 일본 동경에 있는 영기다장을 찾았다. 혼자 서투른 일본말로 찾아찾아 간 룍육본기 - 와 크고 신났다. 그러나 위 감정 보다는 룍육본기 안을 잘 찾아 다닐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찾아간 영기다장은 작고 아담한 가게였다. 이것 저것 기념으로 하나씩 구입하고, 육본기 돌아나니다 무사.. 카파쿠와 차 한잔 한잔하다/일본차문화사 200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