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요점 정리 5 : 경련성 양마비에 대하여

경련성 양마비에 대하여 1) 자세 긴장력 - 모든 타입 자세긴장력은 비정상이다. 2) 지각(perception) - 신체 도식(body schema)은 떨어진다. 3) 감각 – 신체 감각도 많이 떨어진다. 4) 구축과 변형 - 무릎관절, 고관절, 발목관절 변형이 온다. 양마비와 사지마비 차이점은? 근 긴장력과 자세 긴장력은 어느 쪽이든 공통점이다. 지각 문제점에서 공간을 지각하고 신체 도식하는 점은 사지마비아에게는 없는 것인가? 탈구, 무릎 발목 문제점은 dystonic 무정위성과 양마비에서 다르게 나타나는가? 탈구 원인인 연합반응은 무정위성 경련성아이마다 다를 수 있다. 탈구 원인 중 무정위성과 경련성 사지마비나 양마비와 다른 점은? 양마비아는 한쪽에서 탈구가 먼저 생긴다. 그 이유는? 자세긴장력이나 ..

요점 정리 4 : 자동 움직임과 수의 움직임

자동 움직임과 수의 움직임(Automatic and voluntary movement) 치료 목적은 아동에게 일상생활에서 신병 처리 자립을 하게 하는 정상에 가까운 능동 움직임을 스스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위운동신경 손상 환자 즉 경직이 있는 아동에게 정상에 가까운 능동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은 힘들다. 다음 사항을 스스로 물어보자 a) 수의 움직임은 무엇인가, 그것은 자기 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움직임과 어떻게 다른가, 혹은 특정한 목적이 없는 움직임과는 어떻게 다른가? b) 자동 움직임은 전혀 능동적인 것은 아닌가 또 수의 움직임과 같은 자동 움직임에는 같은 근육군을 사용하지 않는가? 수의 움직임은 다른 움직임과 구분되는 것도 아니고 “최소 자동 움직임(least automatic ..

요점 정리 3 : 평형반응과 보호반응

소아치료실에서 치료사들과 이야기 나눈 것을 정리해 봅니다. 1. 평형반응 : 움직임을 하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고 되돌리려는 반응. 이는 정위반응 패턴(즉, 머리 조절, 몸 축에 대한 회전)과 중복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자세 조절은 때때로 근 긴장 변화로 나타날 때도 있지만, 움직임 반대 움직임처럼 보이며 중력 중심과 정렬을 맞춘다. 움직일 때 반응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아이가 원하는 것(장난감을 잡으려고 손을 뻗치는 것)을 할 때 기능 검사해야 한다. 2. 보호반응 : 이 반응은 신체 방어 마지막에 나타나고, 아이가 성장할 때 정위반응과 평형반응과 함께 나타난다. 언제 보호반응이 나타나는가? : ㄱ) 중력 중심에서 너무 떨어져서 정위반응과 평형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때 ㄴ) 움직임 속도가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