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과 구강운동 병행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조음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 석사 - 윤미경
요약 정리 한 것입니다. 원문은 제게 연락 하거나 아니면 ...
호흡과 구강운동 병행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조음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 석사 - 윤미경
1. 이론 배경
1) 운동 말 장애 치료의 훈련방법
뇌성마비은 운동성 말장애이다. 그러기에 행동관리 방법과 의사소통 중심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의사소통 중심접근법은 말 산출 기능이 어려울 때 쓰는 것이다.
2) 호흡과 구강운동 기관의 기능
(1) 호흡
어린 유아 호흡 속도는 불안정하여 1분에 20-40회이고, 2세가 되면 1분에 20회로 안정화 된다.
만일 연령 높은 아동이 1분에 30회 이상 호흡을 한다면, 지속적으로 말하는 동작에 방해가 될 것이다.
호기 시간을 흡기 시간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발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조건이다. - 말하는데 직접 영향은 호기기능이다.
(2) 구강운동 기관의 기능
가) 혀
혀 기능은 자음 발음을 명확하게 하며, 발음 명료도를 좌우한다.
나) 입술
주변 근육에 의해 움직이고, 입술을 수축시켜 발음을 내게 한다.
다) 턱
구강 크기와 형태 등을 변화시켜 조음작용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절대적이다. 하악 움직임은 입안 크기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음식 저작 물과 더불어 모음 산출에 중요하다.
턱은 혀와 아랫입술과 함께 움직인다. 모음 산출에서 턱의 상하운동은 고음과 저음의 변별 산출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나 조음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라) 경구개
입 천정으로 /ㅈ, ㅊ, ㅉ/의 자음 발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한다. 따 라서 문재가 생기면 과비음소리를 낸다.
마) 연구개
/ㄱ, ㅋ, ㄲ, ㅇ/ 소리를 산출한다.
3) 뇌성마비아동의 호흡과 구강운동의 특징
(1) 뇌성마비아동의 호흡
뇌성마비아동의 호흡은 유아때부터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다. 만일 2세 이상의 아동이 매분 30회 이상의 불수의 과호흡을 한다면 말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정상아 호흡은 흉근은 이완하고 복근은 수축하는데,
뇌성마비아동은 흉근과 복근 모두 동시수축하게 되고, 말 속도가 느리며 음량과 음도가 조절되지 않는다.
반면 불수의운동형은 불규칙한 호흡패턴으로 리듬과 발음이 자주 왜곡되며 혀끝을 올리기가 어려워 자음 내기가 어렵고 후두근 과도긴장으로 긴장된 폭발소리, 거친소리 등의 발성장애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뇌성마비아동의 호흡지도는 효과적인 말 산출을 위해 구강과 비강의 호흡분리를 기점으로 호흡량을 최대로 하고 호기시간을 연장하는 등 흡기와 호기를 조절하는 호흡훈련을 적용하여 이상호흡패턴을 교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흉곽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 자세의 안정화를 먼저 꾀하고 명료한 말로 연결 될 수 있도록 자연스럽고 편안한 호흡법을 가르친다.
(2) 뇌성마비아동의 구강운동의 특성
평상시 강하게 교합하고 있어 입을 열려고 할 때나 음식 먹으려 할 때 여러 방향으로 이상한 운동이 나타난다.
턱은 경직이 강한 쪽으로 있어 말 하려고 할 때 턱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도 있다. 턱이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있어 혀가 앞으로 돌출되는 경우 있다.
불수의운동형도 부정교합이 많으며 침이 구강 밑바닥에 고이게 되어 정상 삼키기 한다 해도 혀에 의해 침을 밀어내는 경우가 많고 턱 조절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말하려고 하면 턱이 많이 벌어지거나 반대로 꽉 깨물어 벌이기도 한다. 자음 발성 할 때 큰 문제 수반하여 조음 명료도가 나쁘게 나타난다.
뇌성마비아동 신체가 변형된 자세를 유지하므로 호흡과 구강 각 기관 상태도 비정상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말소리 산출은 정확한 자세에서 시작되므로 반드시 신체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2. 결과
호흡과 조음기관의 훈련하거나 혹은 조음기관의 기능 측면을 강조한 훈련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 훈련방법은 조음 명료도 향상위한 직접 방법이라기 보다는 운동성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말 산출에 있어 근원이 되는 호흡을 발성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직접 말소리를 낼 수 있도록 호흡과 구강운동 병행훈련을 실시하여 조음 명려도와 조음기관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일반 아동은 자연스럽게 말소리를 습득하고 구어를 산출하는데 반하여, 뇌성마비아동은 귀로 들리는 말소리와 조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말소리를 다른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구강운동에 대한 움직임과 말소리 산출 원리를 이해 못하는 경향이 있다.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 > 뇌병변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에서 호흡이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0) | 2009.09.10 |
---|---|
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 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0) | 2009.07.02 |
근력과 지구력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0) | 2009.07.02 |
정상아동과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조음시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0) | 2009.06.29 |
상지고정술이 편마비 아동의 마비측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0) | 2009.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