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뇌병변 논문

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 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매공tea 2009. 7. 2. 16:01

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 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뇌성마비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안소현(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석사)

 

1. 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서 표현성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 결과는 어머니가 자녀의 양육 스트레스로 인해 분노와 우울 같은 정서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게 되면, 가정 안에서 긍정적 정서표현이 줄거나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게됨을 뜻한다. 따라서 양육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의 뇌성마비유아는 긍정적 정서표현 보다는 부정적 정서표현 노출될 확률이 높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 하위요인 중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를 보였으며, 이는 어머니가 뇌설마비 유아로 인한 양육 스츠레스로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행동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이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애정, 적극적 참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엿다. 본 연구 결과는 긍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는 어머니가 민감하고 반응적이고 애정적인 양육행동을 주로하며, 부정적 정서 표현을 많이 하는 어머나는 지시/통제, 거부/적대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한다고 한다.

 

2. 뇌성마비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에 있어서 정서 표현성의 매개 역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하위요인 중 애정, 적극적 참여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에 의해 부분 매개됨을 알 수 있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권위주의 통제는 부정적 정서표현에의해 부분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뇌성마비아의 양육으로 인한 심적 고통이 높은 어머니는 자녀의 새로운 요구들과 상황에 대해 과잉긴장하고 위축되고 우울, 불안을 경험하여 긍정적 정서표현이 줄거나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게 되며, 이는 곧 자녀에게 애정, 적극적 참여와 같은 민감하고 반응적인 양육행동보다 권위주의적 통제와 같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행사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뇌성마비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이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사회지원 프로그램 개발과함께 어머니 자신의 정서 표현성에 댜한 인식과 보자 등정적인 정서표현을 할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아이들 양육스트레스가 권위주의적 통제와 같은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애정적이고 적극적인 양육행동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정서 표현성 및  양육행동과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뇌성마비 유아의 위축행동에 있어 어머니의 행동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 부적응 행동이 증가한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즉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는 부정적 정서표현이 높고, 합리적  지도와 애정, 적극적 참여와 같은 바람직한 양육향동 보다는 권위주의적 통제 과보호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 행동을 더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아이와 부정적인 관계가 되고 이는 아이의 정성 발달을 저해하여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증가 시킨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뇌성마비 유아의 정서 부적응 행동을 중재할  때 유아와 어머니 상담 및 교육을 위한 지침이다 

첫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관리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긍적적 정서 지지룰 하 ㄹ 수 있도록 그리고 아이 자율성을 인정하도록 헤야 한다.

둘째, 공격행동은 양육행동이 중요한 변인이므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즉 권위적 통제나 과보호의  양육향동이 공격행동을 부축일 수 있으므로, 어머니가 자여 장애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 합리적으로 유아를 대할수 있도록해야한다.

셋째, 퇴행행동을 중재하기 위해서는 신체 장애로 인한 환경 탐색의 제약을 최소화 시며 경험을 제공해 주고, 문제 상황들에  적절하게 개입해 아이가 문제 해결하는데 동참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면 아이 퇴행행동을 퇴소화 할 것이다.

넷째, 강박감도 어머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대처 벙법을 제공해야 한다. 즉 어머니의 자아 존중감 회복과 자녀 이해와수용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