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공부방

뇌 구조와 기능

매공tea 2009. 2. 4. 16:05

‘腦’의 構造와 機能

 - 腦의 構造와 機能


인간을 비롯해서 모든 동물은 감각기에 의해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처리안배(按配)하여 근육이나 분비선으로 하여금 운동과 분비를 하도록 지령(指令)을 보낸다.  이로써 인간과 동물은 생명이 유지되고, 본능행동․적응행동․창조행위 등을 영위하게 된다.  이 처리안배의 작용을 통합작용(統合作用)이라하며, 이 역할을 맡은 것이 뇌를 중추로 하는 신경계(神經系)이다.

인간의 경우는 가장 고급의 통합작용이 대뇌에 집중되어 있으며, 우리는 이것을 정신활동으로서 체험하고 있다.  따라서 대뇌는 우리 정신의 자리이며 인체의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런 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腦연구의 역사


   1. 이집트 왕조시대

     ․우리의 정신은 심장에 깃들어 있다.


   2. 그리스 시대

     ․힙포크라테스 - 정신의 자리는 뇌(腦).


   3. 로마시대 ~ 중세의 암흑시대 ~ 18세기 중엽

     ․갈레노스 - 뇌실 국재론(腦室局在論)

     ․뇌실국재론 : 정신활동은 뇌 속에 있는 3개의 방에 간직되어 있는

                   「정신의 기(氣)」라고 하는 영기(靈氣)의 역할에 의한다.




   4. 18세기 말

     ․J.걸 - 골상학(骨相學)

     ․뇌의 실험적 연구 진행 , 뇌세포의 작용에 정신의 자리를 구함.

     ․조건반사 : L.P.파블로프 - 근대의 대뇌생리학의 발달에 큰 공헌.


   5. 최  근

     ․일렉트로닉스의 기술

     ․마이크로 생리학적 연구 : 뇌파(腦波)등을 시표(示標)로 한 뇌 전체의

                               역할의 연구.



◉ 뇌의 진화와 발달

   ○ 진    화

    - 계통발생(系統發生)상으로

      󰠏�󰠏�󰠇�󰠏�󰠏�․강장동물(腔腸動物 : 히드라, 해파리 등)                 

        󰠉�󰠏�󰠏�․환형동물(紈形動物 : 지렁이, 거머리 등),

        󰠉�󰠏�󰠏�  절지동물(節肢動物 : 거미, 곤충 등)

        󰠌�󰠏�󰠏�․척추동물(脊椎動物)

    으로 나눌 수 있다.


   1. 강장동물

     ․신경세포는 몸속에 분산.

     ․1)신경망

        - 몸표면의 한 부분에 주어진

          자극에 의해서, 그 곳의 신경세포가

          작용하면, 신호가 몸 전체에 전달

          되도록 되어있음.

   


   2. 환형동물, 절지동물

     ․2)신경절(神經節)

        - 염주모양으로 길게 이어져 몸의

          장축(長軸)에 따라 위치.

        - 운동신경과 분비신경 , 감각신경



   3. 척추동물


     ․뇌의 개체발생

       - 초기에는 수정란은 차례로 분열하여 내배엽(內胚葉)과 외배엽(外胚葉)           2중벽을 가진 낭배(囊胚)로 되고 다시 제 3의 배엽으로서 중배엽이 분           화된다.  척추동물에서는 등의 중앙을 따라 외배엽이 홈통처럼 안쪽으           로 들어가고, 마침내 길다란 관(官)이 되어 따로 분리된다.  이것을 신           경관이라고 하며, 장차 뇌척수가 된다.  성장함에 따라 신경관의

         앞부분 : 벽도 두꺼워지고 전뇌(前腦), 중뇌, 능뇌(菱腦)의 3부분으로 구           별 된다.  이에 대해서 신경관의 뒷부분 : 관상구조로 있다가 성장이            완성되면 척수가 된다. 앞부분의 3개의 불룩한 부분중에 전뇌는 종뇌            (終腦 ,大腦)와 간뇌(間腦)로 분화되고 능뇌(菱腦)는 후뇌(小腦와 腦橋)           와 말뇌(末腦:延髓)로 분화된다.  신경관에 원래 있었던 내강(內腔)은 각           부분이 분화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화하지만, 결국 뇌부분에서는 뇌실            (腦室)이 되고 척수에서는 중심관이 되어, 그 속에 뇌척수액을 담게 된           다.         위 내용에 보충이 될만한 그림은 아래와 같다.






   ○ 발    달

     

    1. 뇌의 각부분의 발달정도(동물별)

        - 조류이하의 동물 : 중뇌가 발달.

        - 포유류 : 전뇌가 발달.

        - 사람 - ․ 대뇌의 발달이 현저.

                 ․ 뇌가 복잡 : 직립보행자세를 취하는 사람이, 발달된 대뇌를                      잘 받치기 위해서 알맞게 변형된 것.

     

    2. 뇌의 무게

        - 신생아 : 370 ~ 400gr (남녀의 차이 없음)

        - 8세 : 어른의 90%의 무게

        - 남자는 20세, 여자는 18세에 발달이 완성.

          ․남자 1400gr , 여자 1250 gr

        - 50세쯤부터는 차차 가벼워져서 60세가 넘으면 현저하게 가벼워진다.

    

     3. 지능(知能)의 우열

        - 뇌중량의 경중, 뇌중량과 체중의 비(比)의 대소(大小), 대뇌의 표면부분            의 홈수에 관계. →예외도 있음. 예) 참새, 새앙쥐, 돌고래종류 등











◉ 뇌의 구성


  󰠏�󰠏�󰠏�󰠇�󰠏�󰠏�󰠏�척 수󰠏�󰠇�󰠏�󰠏�󰠇�󰠏�󰠏�전근

     󰠐�         󰠐�  󰠌�󰠏�󰠏�후근   󰠆�󰠏�󰠏�전주

     󰠐�         󰠉�󰠏�󰠏�󰠇�󰠏�󰠏�회백질󰠏�󰠊�󰠏�󰠏�측주

     󰠐�         󰠐�  󰠐�         󰠌�󰠏�󰠏�후주

     󰠐�         󰠐�  󰠌�󰠏�󰠏�백  질  전도로󰠏�󰠇�󰠏�󰠏�상행로

     󰠐�         󰠐�                    󰠌�󰠏�󰠏�하행로

     󰠐�         󰠌�󰠏�󰠏�󰠏�󰠏�󰠏�척수반사

     󰠉�󰠏�󰠏�󰠏�뇌 간󰠏�󰠇�󰠏�󰠏�간뇌󰠏�󰠇�󰠏�󰠏�시상

     󰠐�         󰠐�       󰠌�󰠏�󰠏�시상하부

     󰠐�         󰠉�󰠏�󰠏�중뇌 12쌍󰠏�󰠇�󰠏�10쌍 : 동안,활차,삼차,외전,안면,청,설인,미주,부,설하

     󰠐�         󰠐�            󰠌�󰠏�2쌍 : 시신경(→간뇌로), 후신경(→대뇌로)

     󰠐�         󰠉�󰠏�󰠏�뇌교

     󰠐�         󰠌�󰠏�󰠏�연수

     󰠉�󰠏�󰠏�󰠏�소 뇌

     󰠉�󰠏�󰠏�󰠏�대 뇌󰠏�󰠏�󰠏�대뇌피질󰠏�󰠇�󰠏�󰠏�전두엽

     󰠐�                    󰠉�󰠏�󰠏�두정엽

     󰠐�                    󰠉�󰠏�󰠏�후두엽

     󰠐�                    󰠌�󰠏�󰠏�측두엽

     󰠌�󰠏�󰠏�󰠏�자율신경계



   1. 척   수

     - 척수골의 연결로 이루어진 척추

       속에 들어있다.

     - 척수의 양측면에서는 31쌍의

       척수신경이 좌우로 나와 있다.


     - 척수신경이 척수에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2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배쪽으로 뻗은 가지를 전근(前根), 등쪽으로 뻗은 가지를 후근(後根)이라         한다.

        ※ 전근(前根)

          ․ 근육운동과 선분비의 명령을 전하는 신경섬유가 포함.

        ※ 후근(後根)

          ․ 피부와 근육에서 감각신호를 척수에 전하는 신경섬유가 포함.

     - 척수의 횡단면 :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된다.

       1) 회백질

         ․ H자꼴의 중앙부

         ․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있는 곳

         ․ 전주(前柱)․측주(側柱)․후주(後柱)로 구분

           ① 전주 : 큰 신경세포가 있고, 여기서 나간 신경섬유는 전근을 형성                       하면서 말초근육을 향해 진행하고, 뇌척수로부터의 운동명                       령을 전한다.

           ② 후주 : 후근의 신경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감각신호를 받는 신경세                       포가 있다. 이 신경세포에서 나온 섬유는 측주나 전주의                        신경세포에 연락하든가 또는 회질에서 나와 백질로 들어가                       서 멀리 있는 신경세포에 연락하기도 한다.

       2) 백  질

         ․ 같은 역할을 하는 것끼리 한데 모여 다발을 이루며 위아래로 통하고             있다. 이것을 「전도로(傳道路)」라고 한다.  전도로에는 감각의 신             호를 척수에서 뇌로 전하는 상행로(上行路)와 뇌에서 명령을 척수로             전하는 하행로(下行路)가 있다.

     - 역   할

       1) 척수의 전근으로 신경섬유를 보내어 근육이나 분비선을 지배하는 신경           세포는, 하행로에 의해서 뇌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2) 후근에서 오는 감각신호를 직접 받아서 작용한다.

         말초의 감각자극에 응해서 뇌의 개입이 없이 근운동(筋運動)과 선분비           를 일으킨다.  →   척수반사(脊髓反射)

  

   2. 뇌   간

    - 간뇌, 중뇌, 뇌교(腦橋) 및 연수를 합해서 뇌간이라 한다.

    - 연수와는 달리, 회백질과 백질을 분명하게 구분할 수는 없다.

    - 신경핵(神經核) : 신경세포가 작은 집단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주위와 구                         별할 수 있을 때.

    

     2-1. 간   뇌

       - 시상과 시상하부로 나눈다.

       - 다수의 신경핵을 지닌다.

      

      1) 시    상

        ․피부나 근육, 눈, 귀 등에서 일어나는 감각신호를 받아들여 이것을 대            뇌피질로 보내는 중계(中繼)역할을 한다.

      

      2) 시상하부

        ․내장(內臟)의 활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중추로서 작용.

        ․뇌하수체(腦下垂體)도 그 일부는 시상하부와 연락이 있고, 시상하부의            조절작용을 받아서 호르몬을 분비한다.


     2-2. 중   뇌

       - 연수에 걸친 부분

       - 12쌍의 신경이 드나든다.

       - 10쌍 : 동안(動眼)․ 활차(滑車)․삼차(三叉)․외전(外轉)․안면․청(聽)                  설인(舌咽)․미주(迷走)․부(副)․설하(舌下).

           ※ 미주신경 : 내장의 감각과 운동을 관장.

              청 신 경 : 청각과 평형감각의 신호를 전달.

         그 밖의 뇌신경은 얼굴․눈알․혀․목구멍 등의 운동과 감각을 관장

       - 2 쌍 : 시신경 - 간뇌로 들어간다.

                후신경 - 직접 대뇌로 들어간다.

       - 망상체(網狀體) : 중뇌의 중심부에

         신경섬유가 그물눈처럼 얽혀있고

         그 사이에 신경세포가 퍼져있는 조직.

         이곳에서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를 향해서

         쉴새없이 신호가 보내짐으로써 의식을

         각성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 기  능 : 여러가지 기관의 활동을 동시에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갖추어진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중추 역할을한다.


     2-3. 뇌   교

       - 중뇌와 함께 자세를 조절한다.

       - 의식하지 않고서도 직립자세를 유지, 비뚤어진 자세를 바로 잡거나 할           수 있다.

        ※이유 :  근육이나 귀속에 있는 평행감각기에서 신호를 받아, 뇌간의 자                   세조절 중추가 작용함으로써 척수를 통하여 근육에 적당한 명                   령을 내리는 까닭.


     2-4. 소   뇌

       - 뇌 전체의 10%정도의 중량을 차지.

       - 나비꼴 모양.

       - 표층부 : 신경세포를 가진 회백질.

         내  부 : 신경섬유로 된 백질

       - 기   능

         ․근육이나 명령을 뇌간의 신경세포로 보낸다.

         ․동물에서 소뇌를 떼어내면, 생명에는 지장이 없으나 자세이상과 운동             실조를 일으킨다.



     2-5. 대   뇌

       - 뇌 전체의 80%의 중량.

       - 구  조 : 세로로 나 있는 깊은 홈에 의해서 좌우 두개의 반구로 나뉘어                    져 있으나, 이 두 반구가 독립된 것은 아니다.  양반구를 연결                    하기 위해 뇌량이라고 하는 신경섬유의 다발이 통하고 있다.                    반구의 표면부분(대뇌피질)은 신경세포를 풍부하게 지닌 회백                    질이며, 내부는 신경섬유로 된 백질(대뇌수질) 이다.

                  반구의 저부에는 백질로 둘러싸인 미상핵(尾狀核)․렌즈핵․                    편도핵(扁桃核) 등의 신경핵이 있다.  미상핵과 렌즈핵에 병변                    이 생기면 정상적인 운동을 하지 못하고, 기묘한 운동이 자연                    히 일어나게 된다.

       - 대뇌피질

         (반구의 외측면)

         ․두 홈과 그 밖에 비교적 현저한 홈을 기준으로 대뇌를 전두엽․두정             엽․후두엽 및 측두엽의 넷으로 나눈다.

         ․운동령(運動領) : 중심구의 전방을 따라 가늘고 긴 부분에는 수의운동                             의 명령을 보내는 신경세포가 모여있다.

         ․체성감각령(體性感覺領) : 중심구의 뒷쪽에 피부와 근육에서 보내는                                       감각신호를 받는 곳

        1) 측두엽

          ․청각을 지배하는 곳

          ․외측구(外側溝)에 접해 있음.

        2) 후두엽

          ․시각을 지배하는 곳

          ․말을 하고 들어서 이해하는 언어중추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뉜다

            ┌─ 전하방 : 운동령

            └─ 후상방 : 청각령

            이것에 병변이 생기면 3)실어병(失語病)에 걸림.

          ․연합령 : 운동령, 체성감각령, 청각령 등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판단, 추리, 의사 등의 고등정신 기능을 지배.

         

         (반구의 내측면)

          ․고피질과 편도핵 및 그밖의 것을

            한데 묶어 변연계라 한다.

            변연계는 자기보존과 종족보존에

            필요한 본능 행위의 수행 및 이에

            따른 정동(情動)의경험과 내장(內臟)

            활동의 조절에 관계하고 있다.

            또 기억, 기명(記銘), 보지(保持), 상기(想起) 등의 기능에 측두엽의               신피질과 더불어 변연계의 일부가 관계되고 있다.


     2-6. 자율신경계

        - 심장이나 소화기관과 같은 내장 및 타액선 따위의 분비선을 지배하는            말초신경계는 근운동이나 피부감각을 지배하는 신경계와는 다른 계통            을 이루고 있다.

        -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누어 진다.

          ․교감신경계 : 제1차의 중추를 이루는 신경세포.

                        척수중의 흉수와 요수에 있다.

                        심장의 박동을 빠르게,  운동을 억제(소화기관)

          ․부교감신경계 : 중뇌, 연수 및 척수의 아래쪽에 있는 선수(仙髓)에                              있다.

                           심장의 박동을 느리게,  운동을 촉진(소화기관)

        - 교감신경의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는 경우는 투쟁․한랭 등 생명이 위            험에 처했을 때 및 정동흥분이 일어났을 때.

        -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우세한 경우는 영양섭취 및 휴식․수면 등 안정            된 상대에 있을 때.


◉ 腦機能과 神經細胞


   ┌─신경세포

   ├─수지상돌기와 축색

   ├─시냅스

   ├─신경임펄스    ┌─척수반사

   ├─반사─────┼─뇌간반사

   └─중추의 이동   └─대뇌반사



  1. 신경세포

    : 뇌척수는 신경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 지지(支持)와 영양을 담당하는        신경교로 구성된다.

   1) 신경세포는 기능의 단위이므로 신경원이라고도 한다.

   2) 신경의 신호와 명령을 멀리 전하는 장치.

   3) 구   조

     ․ 돌기의 수로 무극, 쌍극, 위단극, 다극신경세포로

        분류되며 뇌의 신경원은 대부분 다극신경세포.

     ․크기는 직경 5~13미크론 이상 되는 것까지 있다.

     ․핵은 하나가 있는데, 그 핵속에 뚜렷한 핵소체가

       하나 있다. 세포내에는 사립체, 니슬소체, 골지장치,신경원섬유 등이 있다.

                                         ㄱ. 사립체(mitochondria) : 다른 세                                              포의 사립체보다 작고, 과립상 또                                              는 간상으로 되어있으며, 둘레 및                                              돌기가 세포체에서 나오는 부분에                                              많다.

                                         ㄴ. 니슬소체(Nissl小體) : 염기성 아닐린 색소에 염색되는 작은 과립으로서, 세포체의 주변이나 수지상돌기 안에 있으나 축색 안에는 없다. 이 소체는 전자현미경으로는 형질내 세망(細網)으로 관찰 되는 리보핵산단백질이며, 세포의 물질대사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는 물질이다.

      ㄷ. 골지장치(Golgi 裝置) : 신경세포에서는 잘 발달되어 있고, 수지상돌기           에 까지 들어 있는 불규칙한 망상구조이다. 임펄스전도에는 직접관계가           없고 신경원의 물질대사에 관여한다.

      ㄹ. 신경원섬유 : 도은염색으로서 세포체나 돌기 속을 통하는 섬유인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전자현미경으로는 직경                                       이 약 100Å인 극히 가는 섬유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광학현미경으로 보이는                                         신경원섬유 그 자체는 고정(固定), 염색과                                       같은 조작으로 말미암아 생긴 인공 산물                                       이라는 의견이 강하다.

                             

                                      2. 수지상돌기와 축색

                                        1) 수지상돌기 : 원형질돌기라고도 하                                             는데, 세포 하나에 1개 이상 들어                                             있고, 다른 신경원에서 임펄스를                                              받아 세포체에 전한다.  대개의 축                                             색보다 짧고, 세포체 가까이에서                                              나무가지 모양으로 갈라지며 길고                                             멀리 도달하는 것도 있다.

                                        2) 축색 : 신경세포에 일어난 임펄스                                             를 멀리 전하는 역할을 지니며, 세                                             포 하나에 한 가닥인 것이 보통이                                             다.  세포체에서 나온 뒤에 길게                                              뻗고, 말단부로 갈수록 많은 가지  를 친다.  그 최말단은 다음 신경  원의 수지상 돌기나 세포체에 접하여 시냅스라는 특별한 구조를 이룬다.

  척수 전주에 있는 운동 신경세포와 같은 특별한 것에서는, 축색은 뇌척수에서 밖으로 나와 말초신경을 만든다.  말초신경에는 축색의 표면에 시반세포라는 특별한 세포가 있어서 피복의 역을 한다.  이것을 시반초라 한다.  때로는 시반초 아래 수초라고 하는 또 하나의 피복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수초는 축색의 모든 부분을 싸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초가 싸고 있지 않은 작은 부분이 있다.  이것을 교륜(絞輪)이라 하며, 물질대사와 임펄스전도에 중요한 장소이다.  수초가 있는 축색을 유수신경섬유, 이것이 없는 것을 무수신경섬유라고 한다.  이 두가지는 임펄스 전도속도상 큰 차이가 있다.  축색의 직경을 같다고 하면 유수신경섬유는 무수신경섬유에 비해서 몇곱이나 임펄스를 빨리 전할 수 있다.


   3. 시냅스

     두개의 신경원(A, B)이 있다고 가정하고 A에서 나온 축색이 B의 세포체나      수지상돌기에 접착하여 특수한 구조를 이룰 때 이것을 시냅스라고 한다. 

     A는 시냅스 전신경원, B는 시냅스 후신경원이라 하며, A에 의해서 B의 작      용이 지배된다.

     시냅스를 이루는 축색은 그 말단이 다소 불러지고, 그 속에 미토콘트리아와      소과립을 지닌다.  접착부에서는 축색의 막이나 이것과 접하는 신경세포막이      함께 두꺼워지고, 두 개는 200~300Å의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시냅      스소포는 직경이 300~600Å이며, 그 속에는 화학전달체가 되는 물질이 저장      되고 있다.


   

   4. 신경임펄스(신경흥분)

     :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 신경섬유를 따라 전해지는 반응.

    

    1) 임펄스 전달

      ․신경임펄스의 세기나 수를 알고자 할때는 신경섬유의 표면 2점에 전극을          대고 2점 사이의 전위차를 증폭기 또는 오실로스코우프를 이용해서 측정          한다.

      ․원래 신경섬유의 막에는 안쪽이 마이너스(-), 바깥쪽이 플러스(+)인 전위 


        차가 언제나 존재하고 있다. 이것을 정지막 전위라고 한다.  일단 막이           자극을 받으면 원래의 막전위는 급속히 소실되고, 반대로 막의 안쪽이          플러스, 바깥쪽이 마이너스로 된 막전위가 새로 발생한다.  이것이 활동전         위의 본래이며, 그 주요한 원인은 막이 나트륨이온에 대해 투과성이 심히         강한 데 있다.  신경세포, 근세포 등도 활동전위를 나타낸다.

   


    2) 임펄스의 성질

      ① 한가닥의 신경섬유에 대해 측정하면, 자극이 유효한 한 그 차극의 세기           가 변하여도 나타나는 임펄스의 세기는 거의 일정하다.

         - 「전 또는 무의 법칙」

      ② 임펄스의 전도속도는 신경섬유의 직경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포유류의           신경섬유에는 가장 빠른 것은 매초 120m, 가장 늦은 것은 매초 0.2m의           전도속도를 갖는 것이 있다.

      ③ 신경섬유는 한 번 임펄스를 전한 뒤에는 잠시나마 자극에 반응하지 못           하는 시기가 있다.  그 때문에 1초간에 나타낼 수 있는 임펄스의 수에           는 한도가 있다.  가장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신경섬유는 1초간에              1000회가 한도이다.


   5. 반   사

    : 반사운동의 중추는 척수에서 뇌간, 다시 대뇌피질까지 중추신경계의 전체에       걸쳐 여러 곳에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각 중추가 관계하는 반사는 척수반        사, 뇌간반사, 대뇌반사 등으로 불린다.


    1) 척수반사

      : 무릎에 있는 대퇴사두근의 건(슬개건)을 때리면 그 근이 수축하여 발이           튀어오르는 반사이다.

      ․반사운동은 생후에 새로 획득된 수의(隨意)운동과는 달리, 태어나면서부          터 갖춰져 있는 것으로서 수의운동과는 얼핏보기에 관계없는 듯하나 사          실은 수의 운동을 배후에서 떠받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걸음을 걸을 때 척수의 반사만으로 걸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뇌에서 척수에 대하여 명령을 보내고 있는 것이나, 척수에          강한 반사작용이 있음으로써 뇌로부터의 명령은 근소하여도 족한 것이           다.


   2) 뇌간반사

     : 척수뿐이 아니라 뇌간에도 중요한 반사기능이 있는데 뇌간의 아래 부분을        남기고 대뇌를 떼어내어도 여러가지 반사가 나타난다.


     ․긴장성 경반사 : 목을 우측으로 둘려주면 오른쪽 손이 뻗고 왼손이 굽는                         다.

                       목을 뒤로 젖히면 두손이 뻗고 두 발이 굽으며, 목을 알                         으로 숙여 주면 두손이 굽고 두발이 뻗는다.

     ․내이(內耳)에 있는 평형감각기인 미로(迷路)는 머리가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을 느끼고, 이곳에서 발하는 자극으로 두부의 회전이 일어나서 정상위         치로 돌아간다.  두부가 동체에 대해서 뒤틀린 위치로 되면, 긴장성 경반         사에 의해서 목이 향한 쪽의 손이 뻗어서 동체가 그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허리가 뒤틀려서 긴장성요반사가 일어나고, 다리도 회전         하여 몸 전체가 정상 자세가 되어 바닥에 닿게 된다.

        - 예) 바로서기 반사

     ․대뇌피질이 없어도 일어나는 반사운동.

     ․영장류(靈長類)와 같은 고등동물에서는 대뇌피질을 떼어내면 운동장해가         심하여, 바로서기 반사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3) 대뇌반사

     : 대뇌피질을 거쳐서 일어나는 반사운동.

     ․바로딛기 반사

     ․바로딛기 반사

     ․뛰어 바로서기 반사

     ․수의적 운동인지 불수의적 운동인지 구별하기 곤란.



   6. 중추의 이동

     척수 반사에 있어서도 동물에 따라 그 정교함의 정도가 다르다.  예컨대 개      구리의 척수는 놀랄 만큼 복잡한 운동을 잘 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개구      리의 뇌를 척수에서 잘라내어 달아두고 등에 초산을 묻힌 종이쪽을 붙인다.      진한 초산은 피부에 강한 자극을 주므로 개구리는 좌우의 발을 교묘하게 써      서 정상적인 개구리와 같이 이 종이쪽을 깨끗이 떨어버린다.

      → 떨어버리기 반사

    개구리와 같은 하등동물의 척수는 이와 같이 심히 복잡한 작용을 하는 능력      을 지니고 있으나, 동물이 고등 동물일수록 척수만으로는 이같이 교묘하게       합목적적으로 운동하지 못한다.  오히려 복잡한 작용을 하는 부분이 차차 뇌      간 또는 대뇌피질로 옮겨간다.  이와 같이 고등동물일수록 중추신경계의 복      잡한 작용을 하는 부분이 상위의 뇌로 옮겨가는 것을 「중추의 머리쪽으로      의 이동 법칙」이라 한다.  원숭이나 사람의 경우에 대뇌피질을 제거하면 복      잡한 반사운동을 일으키기 힘든 것은 이러한 까닭에서이다.


1). 서로 돌기(突起)를 내어서 복잡한 그물의 눈처럼 얽혀있는 경우


2). 신경세포가 분산하지 않고, 여러개가 모여서 몇개의 덩이를 만듦.


3). 말을 할 수 없게 되고, 들어도 이해할 수 없게 되는 증상.

 

 

뇌_구조와_기능.hwp

 


뇌_구조와_기능.hwp
0.02MB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 >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의 가소성   (0) 2009.02.04
뇌의 확대  (0) 2009.02.04
MRI 판독 오류에 대한 논문   (0) 2009.01.30
장애아동의 울음  (0) 2009.01.15
유기농이 더 위험하다  (0) 2009.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