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3

뇌성마비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006

뇌병변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 006 중추신경계에서 보는 것, 듣는 것, 맛 보는 것, 흔들흔들하는 것, 냄새 맡는 것, 통증 온각 감촉 압각 고유감각이 모든 것과 말을 많이 해 목이 마르다하는 자극. 이 모든 것이 감각시스템이며 운동시스템은 오직 하나 근육 밖엔 없습니다. 근육을 어떻게 움직이도록 하느냐 하는 것이 감각운동시스템에서 운동쪽의 역할입니다. 언어치료에서 기본은 호흡이다. 힘을 내어 바람을 일으켜 성대를 울리게 하는 것입니다. 윗 단게인 중추신경계에서는 어떤 말을 할까를 정한다. 이것과 호흡이 연관되어 나오는 것이 말입니다. 이것도 횡격막이 움직이고 가슴에 작은 근육들이 움직이기에 말을 하게 됩니다 모든 것이 근육이 있지 않고는 말을 하지 못합니다. 생각은 있지만 호흡이 안되면 말을..

뇌성마비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005

뇌병변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 005 대뇌피질 사람의 움직임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가하면 궁극적으로 대뇌피질에서 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 온 몸을 구부려 있다가 점차적으로 펴면서 서게 됩니다. 몸을 구부리는 근육 힘에서 펴는 근육 힘이 나고 서기 위해 자세라는 말이 나옵니다. 일어선 다음 주변을 다니기 위해 균형을 조정하려고 평형반응이 생깁니다. 이는 사람의 뇌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뇌는 뇌간과 척수단계와 중뇌 그리고 대뇌피질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위반응이 생겨나는 시기와 없어지는 시기는 1~18개월까지 다양합니다. 어떤 정위반응이 나오는지를 보고 아동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어려운 문제이기에 전문가와 상담하여야 합니다. 중추신경계는 감각운동시스템입니다. 모든 활동은 감각자극..

뇌성마비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004

뇌병변 아동의 기본적인 해부 생리학 - 004 아동을 어떻게 진단하고 평가할 것인가? 이전에 말한 것 중 어떠한 원인인지 생각해야 합니다. 가령 “애가 늦습니다”라 할 때 문제가 무엇인지? 아동이 태어날 때 40주 만삭 출생인지? 혈액 이상 등의 문제는 없는지? 그리고 여러 반사 작용과 자세 움직임 그리고 움직여 보면서 반응을 봅니다. 결국 무엇을 보는가하면 아동이 편마비인지 양마비인지 하는 손상받은 부분과 무정위형인지, 경련성인지 등 그 정도를 봐야 합니다. 관찰하며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