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육우다경연구회 25

품차 동문서답(品茶 東問西答)

금당 최규용선생님 글입니다. 출처는 잘 모릅니다. 품차 동문서답(品茶 東問西答) 금당 최규용 중국 대륙 북방지방에서는 시장에서 파는 상품을 동서(東西)라 한다. 중국말로 “닝진 매매허” 필자는 차에 대하여 오랜 차생활에서 습득한 어구가 하나 있다. 그 어구는 “끽다래(喫茶來)”이다 - 차 한잔 잡수러 오세요. 이 어구를 다인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지난 1988년 8월 8일 해인사 팔만대장경고를 오전 8시에 참배하고 (팔만대장경고는 1956년부터 59년까지 필자가 설계해서 주변 환경과 대수리를 강행 한 바 있다.) 지조암에 들려 일타스님과 차를 나누면서 다담 끝에 우리나라도 중국의 조주화상 끽다거(喫茶去) - 차 한잔 하고 가거라 에 가까운 끽다래 어구를 우리나라 다인과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

아름다운찻자리대회 관람

양산시 덕계동 매곡에 있는 한국궁중꽃박물관에서 제1회 아름다운 찻자리 대회를 한다기에 놀러 갔네요. 식전 행사가 끝나고 식사 시간이라 한가롭게 준비하는 것을 둘러보았습니다. 넓은 정원 곳곳에 찻자리를 정갈하게 펴고 오늘을 준비하고 있네요. 차만들기 구경도 할 수 있네요. 바람불고 밖이라 온도 환경도 불편할건데 그래도 열심히들 하십니다. 뭘 하고 싶은지는 알겠눈데 …, 양류 버드나무 인가요? 흔들리네요. 뭔가 주제 소재와 어떻게 연결될지 모르지만 준비에서는 가장 마음에 들었네요. 계속 대화하며 준비 연습하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암행심사도 필요할 듯하네요. 이런 다회를 위해서요. 오방색으로 했다면 어떨까. . 죽 대나무가 뭔지 궁금증이 일어납니다 몇 다회 심사하는 것을 보았는데요 심사위원들 내면을 볼 수 ..

금당 최규용선생님과 한국육우다경연구회 회원 활동

도예가 좌봉선생님, 서양화가 낙토선생님, 꽃꽃이 전문가 김일순선생님, 사업가 장귀선선생님, 역사선생님 곽희섭선생님, 다도연구가 여천선생님 등이 보이시네요. 금당다우 정문 안쪽입니다. 앞줄 한복 입은이가 며느님, 오른쪽 맨 끝 아드님 이십니다. 금당다우 앞입니다.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입구입니다. 금당다우 거실입니다. 금당다우에서 한국육으다경연구회 모임을 마치면 함께 식사를 하였습니다. 금당 최규용선생님과 한국육우다경연구회 화원들은 정기적으로 차문화를 찾아 다녔습니다. 박권흠회장도 보이네요. 근대 한국차문화가 퇴색되어있을 때 금당 최규용은 자비를 들여 일지암 유적 흔적을 찾아 두었기에 오늘날 일지암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금당 차문화 공개 강연

1990년 3월14일 라마다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불교문화제전에서 금당 최규용선생님께서 한국차문화에 대해 공개 강연을 하셨습니다. ㅔ 이때 강사로는 정다운스님, 수안스님과 금당 입니다. 사진으로 봐도 앉을 자리없이 많은 대중들이 참석하셨네요. 금당은 차문화가 형식, 행다, 허식에서 벗어나 대중 속으로 퍼지기를 바랬습니디.

전국대학다회연합 옛 사진

전다련 하계수련회 입니다. 1980년전후 전국각지 대학에서 다회가 조직되고, 이후 연합회가 결성되어 전국적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제다 행사도 연합하여 가고 정인오교수님도 모셔 강연도 듣고 여연스님 등 많은 분들을 모셔 강연을 들었습니다. 차문화가 고급문화가 아닌 대중문화로 정착하여 민중차문화가 널리 퍼지기 위해 운동을 하였죠. 당시 대학가 모습이 이렇죠. 앞줄 중앙 심형화교수님이 금당 초기 제자이시고, 이 학교로 오시자 다회를 조직하셨죠. 그러니 나는 금당 최규용 - 심형화교수 - 매공 으로 차 계통이 내려옵니다. 뭐 그렇다는거죠.

범어사 성보박물관 - 금당 최규용 동다송 필사본

기증 유물전에 갔네요. 금당 최규용선생님 동다송 필사본이 전시되어 있네요 신축 되어 새 얼굴로 깨끗합니다. 금당 선생님 동다송 필사본은 몇 점 남아 있는데, 저도 1점 보관하고 있습니다. 금당 최규용 선생님 며느님이신 강옥희 선생님이 기증해 주셨습니다. 금당 선생님께서도 부산시립박물관에 몇 점 유물을 기증하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