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아의 말-언어 훈련 뇌성마비아의 말-언어 훈련 뇌성마비아의 섭식 기능의 문제 뇌성마비아는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자세 근육 긴장력의 이상, 감각 이상, 구강 이상반사가 생긴다. 이로 인하여 신체, 구강의 운동 기능 이상, 구강 기관의 형태 이상, 호흡 운동 패턴 이상 등이 나타난다. 이 이상 증상은 바..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언어 구강훈련 2020.03.15
이유식 후기 이유식 후기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기능은 이유식 후기에 가능하다. 중기에서는 혀 움직임으로 으깨어 먹지만, 후기에서는 잇몸으로 조금 단단한 음식물이라도 으깨어 먹는다. 상하입술을 닫아 턱 상하 움직임을 한다. 저작할 때 아래턱을 옆으로 비틀고, 입을 열고 닫을 때 입술 가운데..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언어 구강훈련 2020.03.11
이유식 중기 이유식 중기 자세히 읽어보시고 이해안가는 부분은 댓글로 물어주세요. 이유식 중기는 형태가 있는 음식물을 자신 힘으로 혀로 눌러 으깨어 삼키기가 되는 시기이다. 입술, 혀, 아래턱 움직임을 보면. 숟가락을 입술 사이에 놓으며 입을 닫고, 위 입술을 숟가락 위의 음식물을 문질러 입안..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언어 구강훈련 2020.03.08
장애아동의 섭식과 말-언어와 관계 장애아동과 섭식과 말-언어와 관계 섭식 기능의 기초지식 1) 얼굴, 입 안, 인두의 구조 아래턱, 입술, 혀, 연구개 등 조음기관은 먹기 위한 생명 유지 필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말을 하기 위해 더 복잡한 협조운동의 기초로 된다. 먹는 기능 발달이 충분하지 않으면, 소리를 내고 말을 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20.03.08
뇌성마비아의 언어-말 발달지연 뇌성마지아의 언어-말 발달지연 조음운동에는 혀, 입술, 연구개, 인두 등의 기관이 관여하고 있다. 이 기관은 조음운동 기능 외에 섭식운동에도 관여 한다. 섭식 발달은 조음기관의 발달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언어장애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주..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언어 구강훈련 2020.03.08
발달에 따른 호흡 체온 맥박 혈압 수치 발달에 따른 호흡, 체온, 맥박, 협압 나이 호흡 (회/분) 체온 (℃) 맥박 (회/분) 혈압 (mmhg) 수축압 이완압 신생아 출생~1개월 30~60 35.6~37.5 70~190 60~90 20~60 영아 1~12개월 30~60 37.4~37.6 80~160 74~100 50~70 유아 1~3세 24~40 37.2~37.6 80~130 80~112 50~80 학령전 4~6세 22~34 37.0~37.2 80~120 82~110 50~78 소년 7~12세 18~30 36.7~.. 아이들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싶다.요/언어 구강훈련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