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과 섭식과 말-언어와 관계
섭식 기능의 기초지식
1) 얼굴, 입 안, 인두의 구조
아래턱, 입술, 혀, 연구개 등 조음기관은 먹기 위한 생명 유지 필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말을 하기 위해 더 복잡한 협조운동의 기초로 된다.
먹는 기능 발달이 충분하지 않으면, 소리를 내고 말을 하는 정상적인 언어 발달은 기대할 수 없다.
먹는 기능은 말하기 전 단계라고도 말하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①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음식물 섭취는 입과 입 안의 여러 기관의 협조작용에 의한다.
② 호흡은 살아가는데 필요한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가스교환을 목적으로 한다.
코나 입에서 비강이나 구강을 통하여 인두에서 폐에 도달하는 호흡 경로를 기도라 한다.
호흡은 자율기능으로서 태어나서 죽기까지 반복되지만, 호흡 유지를 위해서는 기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음식물 섭취는 생명 현상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취하는 것이다.
입 안 음식물을 씹어서 작게 작게 만들어, 입안에서 인두, 식도를 거쳐 위장에서 소화 흡수된다.
씹기는 음식물을 깨물어 씹어 부수고 타액과 혼합하여 적당한 크기로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 덩어리를 만들어 삼키기 쉽게 하는 과정이다.
음식물 덩어리가 구강에서 인두, 식도를 통하여 위로 보내지는 과정을 삼킴이라 한다.
이 음식물을 삼키는 길과 기도가 교차하는 곳이 인두강이며, 인두부에서는 음식물을 자연스럽게 식도에 보내기 위해서는 구강, 비강, 후두부 등으로의 개구부가 일시적으로 차단된다.
음식물 덩어리는 식도로 넘어갈 때 호흡, 저작 등 운동은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유아기에 모유를 빠는 경우에는 인두강이 미숙하고, 커가면서 인두강이 넓어지고 고형음식물을 먹을 수 있다.